Javscript : 알쓸신잡(알아두면 쓸모있는 신기한 잡아스크립트) - Javascript
알쓸신잡(알아두면 쓸모있는 신기한 잡아스크립트) - Javascript
저는 기존에 Java와 Spring 공부를 했었는데, 회사에 입사 후 Javascript를 다룰 일이 많아졌습니다.
그래서 조현영(제로초) 님의 렛츠기릿 자바스크립트를 보면서 제가 생소한 부분들을 정리해논 글 입니다.
단순히 제 주관으로 판단하고 작성하는 글이기 때문에 가이드가 될 수는 없으니 주의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star2:
REPL(Read Eval Print Loop)
기본적으로 Javascript는 컴퓨터가 한줄 씩 읽는 인터프리터 방식의 언어입니다.
이 Javascript는 브라우저의 콘솔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때, 브라우저의 콘솔에서 한 줄씩 입력(Read)받고 받은 입력을 평가(Eval)한 후 결과를 출력(Print)합니다. 그 후 다시 프롬프트가 나타나 새로운 입력을 기다립니다.(Loop)
이 과정을 REPL(Read-Eval-Print-Loop)
라고 합니다.
Number와 parseInt/parseFloat의 차이
아래의 예시와 같이 Number
는 안에 들어있는 값이 전부 숫자가 아니라면 Nan(Not a Number)
를 반환하고 parseInt/parseFloat
은 Int와 Float으로 인식할 수 있는 위치까지 읽어 해당 타입으로 반환합니다.
Number('234오오오테스트324'); // Nan(Not a Number)
parseInt('234오오오테스트324'); // 234
parseInt('234.23423오오오테스트324'); //234
parseFloat('234오오오테스트324'); // 234
parseFloat('234.23423오오오테스트324'); // 234.23423
참고로
Nan
을typeof
로 체크해보면 숫자라고 나옵니다.
prompt()
값을 입력할 수 있는 시스템 창을 출력합니다.
빼기(-) 연산자
1 + '0'
처럼 더하기 연산자는 숫자가 문자열로 변환 후, 더하기 연산을 진행하는것은 대부분이 다 아는 사실일 겁니다.
하지만, 빼기 연산자는 문자열이 숫자로 바뀐 후 연산합니다. 때문에 문자열에 숫자가 아닌 다른 문자가 들어올 경우 Nan을 반환합니다.
즉, 위에서 말한 것 처럼 문자열이 parseInt
보다는 Number
가 적용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NaN끼리 비교하기
값 중에서 NaN은 비교할 때 독특한 성질을 가집니다. 바로 NaN끼리 비교할 때 false 값을 가진다는 것입니다.
> NaN == NaN;
< false
문자열 코드 보기
charCodeAt()
이라는 메서드를 사용하면 해당 문자가 어떤 코드 번호를 가지고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 '&'.charCodeAt();
< 65286
> 'a'.charCodeAt();
< 97
> 'b'.charCodeAt();
< 98
문자와 숫자 비교
Javascript에서 문자와 숫자를 비교할 때, 문자를 숫자로 변환 후 비교하게 됩니다. 이 때, 숫자로 변환할 수 없는 문자는 NaN
이 됩니다.
> '1' < 5
< true
> 'abc' < 5
< false
!!연산자
!
가 true를 false로 false를 true로 바꿔주는 연산자이기 때문에 !!
를 사용하면 해당 연산자를 붙인 코드가 true인지 false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 !!false // false -> true -> false
< false
> !!'' // false(''은 false) -> true -> false
< false
> !!0 // false(0은 false) -> true -> false
< false
> !!NaN // false(NaN은 false) -> true -> false
< false
> !!undefined // false(undefined은 false) -> true -> false
< false
> !!null // false(null은 false) -> true -> false
< false
> !!document.all // false(document.all은 false, 잘 사용하지 않음) -> true -> false
false
위의 경우를 제외하고 대부분이 true이기 때문에 !!를 이용해서 해당 코드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typeof null
typeof null
은 원래 null이 나와야 하지만 결과값은 object가 나옵니다. 이 현상은 자바스크립트의 유명한 버그입니다. 언어가 만들어진 초창기에 object가 되었는데, 기존에 typeof null을 사용하는 모든 곳에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버그를 수정할 수가 없었다고 합니다.
이 버그를 보고 초반 설계의 중요성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let let = ‘1’ 선언했을 때 오류 메시지가 다른 이유
var var = 3;
처럼 예약어를 변수의 이름으로 사용했을 때, Unexpected token 'var'
라는 에러 메시지가 나옵니다.
하지만 let let = '1'
로 선언하게 된다면 let is disallowed as a lexically bound name
라는 에러메시지가 나옵니다.
그 이유는 ES2015 표준 이전에는 let 선언이 없었으므로 let을 변수 이름으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변수 이름 허용을 중지하도록 언어를 변경하면 let이 완벽한 변수 이름이었던 ES2015 이전에 작성된 애플리케이션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1995년부터 2015년까지 20년 동안!)
let은 ES2015의 새로운 기능이었기 때문에 기존 코드를 끊을 수 없었습니다. 때문에 let을 사용할 때, let을 변수 이름으로 허용하지 않음으로써 잠재적인 구문 혼란의 원인을 피할 수 있었습니다.
때문에 ES2015전에 사용했던 var를 var let = 3; 같은 형식으로 사용하는 것은 올바른 문법이 됩니다.
변수의 값을 변경하면 반환값이 undefined가 아니다?!
> let test = 1; // 처음 test를 초기화할 때는 undefined를 반환하지만
< undefined
> test = 2; // 해당 변수의 값을 바꾼다면, 바꾼 값을 반환합니다.
< 2
빈 값을 넣을 때는 null을 사용하자!
undefined는 빈 값이기 때문에 특정 변수에 빈 값을 넣을 때는 null을 사용함으로써, 의도적으로 null을 넣었다는 것을 표현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undefined를 넣었다면, 다른 개발자나 내가 추후에 다시 해당 변수를 사용해야할 때, 기본값이라고 생각하여 상의하지 않고 값을 변경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배열 메서드
아래와 같은 배열이 있다고 가정합니다.
const arr = ['가', '나', '다', '라', '마'];
추가 및 제거
shift
: 배열 맨 앞에 값을 제거함 :arrow_right: arr.shift();unshift
: 배열 맨 앞에 값을 추가함 :arrow_right: arr.unshift(‘가’);push
: 배열 맨 뒤에 값을 추가함 :arrow_right: arr.push(‘다’);pop
: 배열 맨 뒤 값을 제거함 :arrow_right: arr.pop();splice
: 다양하게 배열의 값을 제거하거나 추가할 수 있음- arr.splice(1,2) :arrow_right: 배열의 1번 째 인덱스부터 2개의 값을 지움
- arr.splice(1) :arrow_right: 배열의 1번 째 인덱스 뒤의 값을 모두 지움
- arr.splice(1, 3, “타”, “파”) :arrow_right: 배열의 1번 째 인덱스부터 3개의 값을 지운 후, 타, 파를 끼워넣음
- arr.splice(1, 0, “타”, “파”) :arrow_right: 배열의 1번 째 인덱스 앞에 타, 파를 끼워넣음
요소 찾기
includes
: 배열 안에 값이 있는지 체크(true/false) :arrow_right: arr.includes(‘가’); // trueindexOf
: 배열의 앞에서부터 해당 값의 인덱스 번호를 찾아줌 없으면 -1 :arrow_right: arr.indexOf(‘라’); // 3lastIndexOf
: 배열의 뒤에서부터 해당 값의 인덱스 번호를 찾아줌 없으면 -1 :arrow_right: arr.lastIndexOf(‘하’); // -1
함수
함수에 이름을 붙이는 방법 3가지
함수 선언문(function declaration statement)
: function예약어 다음에 이름을 붙이는 방법 :arrow_right: function a() {}함수 표현식(function expression)
: 변수를 만들어 함수를 넣는 방법 :arrow_right:const a = function() {}화살표 함수(익명 함수)
: 변수를 만들어 함수를 넣는 방법(화살표 함수는 해당 방식만 가능) :arrow_right: const a = () => {}
함수의 parameter와 argument
가끔 parameter와 argument를 헷갈리곤 하는데, 정확히 정의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parameter
: 함수를 선언할 때 받는 매개변수argument
: 함수를 호출할 때 넣어주는 인수
만약 함수의 parameter(매개변수)와 argument(인수)가 일치하지 않는다면, 짝지어지지 않은 매개변수는 undefined가 되고 짝지어지지 않은 인수는 무시됩니다.
객체
객체 속성의 접근방법
const obj = {
bc : 'hello',
ab : 'hi',
dc : 'world',
// 아래는 특수한 이름을 가진 속성(문자열로 묶어주어야 함)
'2bc' : 'unique',
'a b' : 'space',
}
위와 같은 객체가 있을 때, 자바스크립트에서 2가지 방법으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 온점으로 구분하는 방법 :arrow_right: obj.bc
- 대괄호로 구분하는 방법(이 때, 속성명을 문자열로 묶어주어야 한다는 것을 유의) :arrow_right: obj[‘bc’]
이렇게 객체에 접근하는 방법이 나뉘어져 있는 이유는 ‘2bc’, ‘a b’와 같은 특수한 경우 때문입니다.
속성명 앞에 숫자가 오거나 공백이 있는 경우는 obj.2bc 처럼 온점으로 구별할 수 없기 때문에 대괄호로 구분하는 방법이 있는 것입니다.
배열과 함수도 객체다?!
자바스크립트에서 배열과 함수도 객체이기 때문에 객체와 같이 속성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function hello() {}
hello.a = 'really?';
const array = [];
array.b = 'wow';
console.log(hello.a);
console.log(array.b);
즉, 배열과 함수는 객체를 각각 배열과 함수모양으로 만들어 놓은 것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하지만, 목적에 맞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call(), apply(), bind()
call, apply, bind는 함수 호출과 관련된 메서드 입니다. 해당 내용에 대한 설명은 아래의 링크를 참고하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참고 : [리뉴얼] 렛츠기릿 자바스크립트
댓글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