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 유효성 검사(Validation) 방법 및 Custom Annotation
유효성 검사(Validation) 방법
Validation이란 어떤 데이터의 값이 유효한지, 타당한지 확인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이메일 주소 양식은 admin@example.com인데, 회원 가입을 할 때 이메일 양식이 일치하지 않으면 유효하지 않은 이메일이므로 회원 가입을 막을 수 있습니다.
UI에서 javascript로 “이메일 양식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은 UX 측면에서 사용자에게 편의를 주기 위함입니다. 사용자가 잘못 입력하여 오타가 발생 했으니 다시 한 번 확인을 하라는 의미가 강합니다. 즉, UI단에서 유효성 검사를 하는 것은 보안적인 측면에서 아무 효과가 없다는 것입니다.
보안적인 측면에서 유효성 검사란 올바르지 않은 데이터가 서버로 전송되거나, DB에 저장되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의존성 설정
<dependency>
<groupId>org.hibernate</groupId>
<artifactId>hibernate-validator</artifactId>
<version>6.1.0.Final</version>
</dependency>
의존성을 추가하는 부분을 몇 개 검색해보면 validationa-api
도 추가해주는 것을 볼 수 있는데, hibernate-validator의존성을 추가하면 validationa-api의존성도 함께 추가되므로 validation-api 의존을 생략해도 됩니다.
기본적인 사용법
기본적으로 유효성 검사는 @Valid
또는 @Validated
어노테이션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두 어노테이션만으로는 유효성을 검사할 수 없고, 클래스에 여러가지 제약조건에 관한 어노테이션을 추가해야 @Valid, @Validated
가 붙은 객체를 제약조건 어노테이션들을 이용하여 유효성 검사를 해주는 것입니다. @Valid, @Validated
어노테이션은 기본적으로 기능이 같지만, @Validated
는 필드에다 제약조건에 대한 그룹을 만들어 적용시킬 수 있습니다.
또, BindingResult
객체를 파라미터에 넣어주면 유효성 검사에 실패할 때, 에러 내용을 BindingResult
객체에 바인딩할 수 있습니다. 즉, BindingResult
를 이용해 유효성 검사에 실패했을 경우에 따른 다양한 처리를 해줄 수 있고, DispatcherServlet이 BindingResult를 JSP에 넣어주기 때문에 JSP에서 유효성 검사에 실패했을 경우를 처리해줄 수 있습니다.
만약
@Valid, @Validated
를 사용 중 유효성 검사에 실패할 때, 컨트롤러 메서드가 BindingResult 객체를 받지 않는다면 검증에러 발생 시 MethodArgumentNotValidException을 내보냅니다.
참고 링크
victolee93님 블로그(JSP에서 BindingResult 사용하기)
제약조건 어노테이션
아노테이션 | 설명 |
---|---|
@AssertFalse | 값이 false 인지 확인합니다. |
@AssertTrue | 값이 true 인지 확인합니다. |
@Null | 값이 null인지 확인합니다. |
@NotNull | 값이 null이 아닌지 체크합니다. |
@NotEmpty | 값이 null도 빈것도 아닌지 확인합니다. |
@NotBlank | 값이 null이 아니고, 트림 된 길이가 0보다 큰지 확인합니다. @NotEmpty와의 차이점은 이 제약은 CharSequence에만 적용되고 트림된다는 것입니다. |
지정된 문자 시퀀스가 유효한 전자 메일 주소인지 여부를 확인합니다. 선택적 매개 변수 regexp 및 flags를 사용하면 전자 메일과 일치해야하는 추가 정규 표현식 (정규식 플래그 포함)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 |
@Max(value=) | 값이 지정된 최대값보다 작거나 같은지 확인합니다. |
@Min(value=) | 값이 지정된 최소값보다 크거나 같은지 확인합니다. |
@Size(min=, max=) | 값이 min=과 max= 사이에 있는지 확인합니다.(경계 포함) |
@Positive | 값이 양수 인지 확인합니다. |
@PositiveOrZero | 값이 양수이거나 0인지 확인합니다. |
@Negative | 값이 음수인지 확인합니다. |
@NegativeOrZero | 값이 음수이거나 0인지 확인합니다. |
@Past | 값이 과거일자인지 확인합니다. |
@PastOrPresent | 값이 과거 또는 현재인지 확인합니다. |
@Future | 날짜가 미래인지 확인합니다. |
@FutureOrPresent | 날짜가 현재 또는 미래인지 확인합니다. |
@Pattern(regex=, flags=) | 주어진 플래그 매치를 고려하여 값이 정규식 regex와 일치하는지 검사합니다. |
@DecimalMax(value=, inclusive=) | inclusive=false일때 지정된 최대값 보다 작은지 확인합니다. inclusive=true 이면 값이 지정된 최대값보다 작거나 같은지 확인합니다. 매개변수 값은 BigDecimal 문자열 표현에 따라 최대값의 문자열 표현입니다. |
@DecimalMin(value=, inclusive=) | 값이 inclusive=false일때 지정된 최소값 보다 큰지 확인합니다. inclusive=true 이면 값이 지정된 최소값보다 크나 같은지 확인합니다. 매개변수 값은 BigDecimal 문자열 표현에 따라 최소값의 문자열 표현입니다. |
@Digits(integer=, fraction=) | 값이 integer=와 fraction=에 의해 지정된 자리수의 숫자인지 확인합니다. |
@Vaild
Post요청 시 @RequestBody
를 통해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사하는 경우를 예시로 들겠습니다.
UserDTO.java
public class UserDTO {
@NotNull
private Long id;
@NotEmpty(message = "fail")
private String password;
private String name;
// Getter, Setter 생략
}
DTO클래스에 제약조건 어노테이션을 붙여줍니다. message속성을 이용해서 에러가 발생했을 때의 message를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습니다.
ValidController.java
@RestController
@RequestMapping("/valid")
public class ValidController {
@PostMapping
public void valid(@RequestBody @Valid UserDTO userDTO, BindingResult result) {
if(result.hasErrors()) {
result.getAllErrors()
.forEach(objectError -> {
System.err.println("code : " + objectError.getCode());
System.err.println("message : " + objectError.getDefaultMessage());
System.err.println("name : " + objectError.getObjectName());
});
}
}
}
위치와 상관없이 유효성을 검사할 객체에 @Vaild
를 붙여주면 됩니다. @RequestBody
앞에 붙여도 됩니다.
BindingResult
에서 모든 에러정보를 얻으려면 getAllErrors()
메소드를 호출해야 합니다. getAllErrors()
는 에러정보를 List<ObjectError>
에 담아 Return 하는데, 위의 경우에선 List를 Stream으로 에러정보를 콘솔에 출력해주었습니다. 기타 메소드들은 공식 문서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참고 링크
처리순서
@Valid
가 선언되어 있기 때문에 UserDTO 클래스의 제약조건 어노테이션(@Notnull, @NotEmpty
)에 따라 데이터의 유효성 검사를 진행합니다.- 모든 필드의 데이터가 유효하다면 문제없이 작성된 로직을 진행합니다.
- 데이터가 유효하지 않는 필드가 있으면 그에 대한 에러 정보를
BindingResult
변수에 담습니다.- BindingResult에 값이 있다면 유효성 검사에 실패한 것이기 때문에 실패한 경우에 실행할 로직을 만들어줄 수 있습니다.
DTO가 다른 객체를 가지는 경우
만약 DTO안에 멤버 필드의 타입이 primitive type 이나 String 클래스 외에 또 다른 클래스가 있을 때 해당 클래스를 Validation
하려면, 아래와 같이 또 다른 클래스에 @Valid를 적용하고 해당 클래스에서 다시 annotation을 적용하면 됩니다.
public class UserDTO {
@NotNull
private Long id;
@NotEmpty(message = "fail")
private String password;
private String name;
@Valid
private Address address;
}
public class Address {
@NotEmpty
private String address;
@NotNull
private int addressNum;
}
테스트 코드
테스트는 Validator를 사용한 객체의 유효성을 검사하는 테스트
와 MockMvc를 사용한 Controller로직을 검증하는 테스트
가 있습니다.
객체의 유효성 검사 (Validator 사용)
@RunWith(SpringJUnit4ClassRunner.class)
@WebAppConfiguration
@ContextConfiguration(classes = {WebMvcContextConfiguration.class, ApplicationConfig.class})
public class ValidTest {
private static Validator validator;
private static ValidatorFactory factory;
@BeforeClass
public static void init() {
factory = Validation.buildDefaultValidatorFactory();
validator = factory.getValidator();
}
@Test
public void validFailTest() throws Exception {
UserDTO user = new UserDTO();
user.setName("name");
Set<ConstraintViolation<UserDTO>> set = validator.validate(user);
for(ConstraintViolation<UserDTO> v : set)
System.out.println(v.getMessage());
}
}
객체와 @Vaild를 테스트하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ValidatorFactory
의 getValidator()
로 Validator
객체를 받아 사용해야합니다. ValidatorFactory, Validator
는 @BeforClass
를 이용하여 테스트 클래스가 실행되기 전에 초기화 해주어야 합니다.
Validator
의 validate()
에 유효성 검사를 진행할 객체를 넣어주었을 때, 유효성 검사에 실패하게 되면, Set<ConstraintViolation<검사할 객체>>
에 에러정보를 담아 Return하게 되고, ConstraintViolation<검사할 객체>
를 이용해 에러정보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참고 링크
Controller로직 검증 (MockMvc 사용)
@RunWith(SpringJUnit4ClassRunner.class)
@WebAppConfiguration
@ContextConfiguration(classes = {WebMvcContextConfiguration.class, ApplicationConfig.class})
public class ValidTest {
@Autowired
public ValidController validController;
private MockMvc mockMvc;
@Before
public void createController() {
MockitoAnnotations.initMocks(this);
mockMvc = MockMvcBuilders.standaloneSetup(validController).build();
}
@Test
public void validFailTest() throws Exception {
UserDTO user = new UserDTO();
user.setName("name");
ObjectMapper mapper = new ObjectMapper();
this.mockMvc.perform(post("/valid")
.characterEncoding("UTF-8")
.content(mapper.writeValueAsString(user))
.contentType(MediaType.APPLICATION_JSON))
.andExpect(status().isOk());
}
}
Http와 같이 Controller로직을 검증하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Controller를 주입받고 mockMvc
를 해당 Controller로 build()
해줍니다.
ValidController에서 Post요청 시 유효성 검사를 진행하기 때문에 Json을 전송해 주어야 하는데, ObjectMapper
의 writeValueAsString()
에 객체를 넣으면 객체의 필드와 필드의 값을 Json으로 변환해주기 때문에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주의할 점
- Json을 전송할 때
body = <no character encoding set>
처럼 body를 인식하지 못하거나 한글이 깨지는 경우, MockMvc를 build()할 때, Filter를 넣어주어야 합니다.mockMvc = MockMvcBuilders.standaloneSetup(reservationInfoApiController).addFilters(new CharacterEncodingFilter("UTF-8",true)).build();
perform(post("/valid")
에서post()
는MockMvcRequestBuilders.post()
입니다. 여기서는 간단하게 사용하기 위해 import static을 사용하였습니다.import static org.springframework.test.web.servlet.request.MockMvcRequestBuilders.post;
javax.validation.ValidationException: HV000183: Unable to initialize 'javax.el.ExpressionFactory'.
에러가 발생하면 아래의 라이브러리 의존성을 추가합니다.
<dependency>
<groupId>javax.el</groupId>
<artifactId>javax.el-api</artifactId>
<version>3.0.0</version>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org.glassfish</groupId>
<artifactId>javax.el</artifactId>
<version>3.0.0</version>
</dependency>
참고 링크
@Validated
@Validated
어노테이션은 기본적으로 @Valid
와 기능이 같지만, 필드에다 제약조건에 대한 그룹을 만들어 적용시킬 수 있습니다.
@Valid
는 제약조건을 달아놓은 속성에 대해 전부 유효성 검사를 하게 되는데, 만약 제약조건 중 원하는 속성만 유효성 검사를 하고싶은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 @Validated
입니다.
원하는 속성들만 유효성 검사를 하려면 먼저 그룹핑을 해놓아야 하는데, 필드에 대한 제약조건 그룹핑은 메소드 선언이 없는 마커 인터페이스를 이용합니다.
ValidationGroups.java
public class ValidationGroups {
public interface group1 {}
public interface group2 {}
}
ValidationGroups
클래스에 메소드 선언이 없는 마커 인터페이스 group1, group2
를 만듭니다. 해당 그룹에 원하는 필드를 그룹핑할 수 있습니다.
UserDTO.java
public class UserDTO {
@NotNull(groups = {ValidationGroups.group1.class})
private Long id;
@NotEmpty(message = "fail", groups = {ValidationGroups.group2.class})
private String password;
private String name;
// Getter,Setter 생략
}
기존의 UserDTO의 필드를 groups
속성을 이용해 그룹핑합니다.
ValidController.java
@RestController
@RequestMapping("/valid")
public class ValidController {
@PostMapping
public void valid(@RequestBody @Validated(ValidationGroups.group1.class) UserDTO userDTO, BindingResult result) {
if(result.hasErrors()) {
result.getAllErrors()
.forEach(objectError -> {
System.err.println("code : " + objectError.getCode());
System.err.println("message : " + objectError.getDefaultMessage());
System.err.println("name : " + objectError.getObjectName());
});
}
}
}
@Validated
를 선언하고 괄호를 열어 원하는 그룹을 넣어주면 해당 그룹에 속해있는 필드만 유효성 검사를 진행하게 됩니다.(테스트 코드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Valid
와 마찬가지로 위치는 상관없습니다.
주의할 점
@Validated
에 그룹을 넣어주지 않으면 Controller에서 유효성 검사를 하지 않습니다.
@PathVariable, @RequestParam에서의 유효성 검사
@PathVariable, @RequestParam
에서 유효성 검사를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MethodValidationPostProcessor Bean 등록
@Bean
public MethodValidationPostProcessor methodValidationPostProcessor() {
return new MethodValidationPostProcessor();
}
먼저 @PathVariable, @RequestParam
에서 유효성 검사를 하려면 MethodValidationPostProcessor
를 Bean으로 등록하여야 합니다.
ValidController.java
@RestController
@RequestMapping("/valid")
@Validated
public class ValidController {
@GetMapping("/{id}")
public String parameterValid(@PathVariable @Email String id) {
return id;
}
}
Controller클래스에 @Validated
를 붙여주고, 유효성 검사를 진행할 @PathVariable, @RequestParam
에 제약조건 어노테이션을 붙여주면 됩니다.
테스트 코드
@Test
public void parameterValidTest() throws Exception {
this.mockMvc.perform(get("/valid/hello")
.characterEncoding("UTF-8")
.contentType(MediaType.APPLICATION_JSON))
.andDo(print());
}
MockMvc방식으로 간단하게 테스트해보면, ConstraintViolationException
예외를 발생시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주의할 점
- Controller 클래스에
@Validated
를 붙여주게 되면,BindingResult
에 에러정보를 넣어 사용하던 메서드에서도 Exception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주의하여야 합니다.- 구글링해보니 @PathVariable과 BindingResult는 같이 사용할 수 없다고 합니다.
- 이런 경우에는
@ExceptionHandler
를 통해 예외를 제어해주어야 합니다.
ConstraintViolationException과 MethodArgumentNotValidException의 차이점
@Vaild
를 이용하다 발생한 Exception은 MethodArgumentNotValidException
입니다. 그런데 같은 제약조건을 처리하는데 왜 @PathVariable
에서 제약조건 어노테이션(@Email
)을 이용하면 왜 ConstraintViolationException
이 발생할까요? 공식 문서를 보면 각 Exception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습니다.
ConstraintViolationException
: 제약조건 위반의 결과를 보고합니다.MethodArgumentNotValidException
: @Valid 주석이 달린 인수에 대한 유효성 검사가 실패하면 예외가 발생합니다. 5.3부터 BindException을 확장합니다.
유효성 검사 시 예외가 발생하는 상황에서 @Valid
를 사용하지 않았으면 ConstraintViolationException
, 사용했다면 MethodArgumentNotValidException
가 발생하는 것 입니다.
확인 결과, @Validated도 마찬가지로
MethodArgumentNotValidException
이 발생합니다.
Custom Constraint Annotation
제약조건 어노테이션으로 모든 제약조건을 설명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필요한 제약조건을 직접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습니다.
예시를 위해 UserDTO의 name필드에 Splin을 제외한 다른 이름은 올 수 없는 제약조건 어노테이션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NameConstraint.java(Custom Constraint annotation)
@Documented
@Constraint(validatedBy = NameConstraintValidator.class)
@Retention(RUNTIME)
@Target({ TYPE, FIELD, PARAMETER })
public @interface NameConstraint {
String message() default "Not Exist Name";
Class<?>[] groups() default {};
Class<? extends Payload>[] payload() default {};
}
@interface
를 사용해 Custom annotation
을 만들 수 있습니다. 즉, @NameConstraint
라고 사용할 수 있는 것입니다.
@interface
위에 붙은 어노테이션을 메타데이터 어노테이션이라고 합니다.
Metadata Annotation
메타데이터는 데이터를 위한 데이터입니다. 즉, 어떤 데이터의 구조화된 정보를 분석, 분류하고 부가적 정보를 추가하기 위해 그 데이터 뒤에 함께 따라가는 정보를 말합니다. 여기에서 사용된 메타데이터를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Documented
: 해당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는 클래스가 javadoc와 같이 문서화 될 때, 해당 어노테이션이 적용되었음을 명시하도록 합니다.@Constraint(validatedBy = Class<T>(여기서는 NameConstraintValidator.class))
: 유효성 검사에 사용될Validator
를 설정합니다.@Retention(RUNTIME)
: 어노테이션의 라이프 사이클을 설정합니다.RetentionPolicy.SOURCE
: 소스 코드(.java)까지 남아있습니다.RetentionPolicy.CLASS
: 클래스 파일(.class)까지 남아있습니다.(=바이트 코드)- class 파일만 존재하는 라이브러리 같은 경우에도 타입체커, IDE 부가기능 등을 사용할수 있으려면 CLASS 정책이 필요
RetentionPolicy.RUNTIME
: 런타임까지 남아있습니다.(=사실상 안 사라짐)- 여기에서는 import static으로
RetentionPolicy
를 선언했습니다.
@Target({ TYPE, FIELD, PARAMETER })
: 어노테이션이 생성될 수 있는 위치를 지정합니다. (enum으로 된 ElementType의 필드)- 여기에서는 import static으로
ElementType
을 선언했습니다.
- 여기에서는 import static으로
Constraints Annotation을 만들기 위해서는 3가지 속성
message
: 제약 조건에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반환하는 기본 에러 메시지입니다.groups
: 제약 조건 그룹을 지정하는 것으로 추후에 검사 순서를 지정하는 것과 연관이 있습니다. 기본으로 Class<?> 배열로 정의해야 합니다.payload
: client에서 payload 객체를 위해 쓰입니다.
payload : 전송되는 데이터를 의미합니다. 데이터를 전송할 때, 헤더와 메타데이터, 에러 체크 비트 등과 같은 다양한 요소들을 함께 보내 데이터 전송의 효율과 안정성을 높히게 됩니다. 이 때, 보내고자 하는 데이터 자체를 payload라고 합니다.
NameConstraintValidator.java(Validator)
public class NameConstraintValidator implements ConstraintValidator<NameConstraint, String> {
public static final Set<String> names = new HashSet<>(Arrays.asList("Splin"));
@Override
public boolean isValid(String value, ConstraintValidatorContext context) {
return value != null && names.contains(value);
}
}
@NameConstraint
를 처리해주려면 반드시 ConstraintValidator
를 구현해주어야 합니다.
ConstraintValidator<NameConstraint, String>
를 보면, NameConstraint에서 String 객체에 대한 유효성 검사를 진행할 것임을 설정했고, isValid
메서드에서 유효성 검사를 진행합니다.
이렇게 Validator까지 만들어 주게 되면, 아래와 같이 UserDTO에서 사용할 수 있고, Splin이 아닌 다른 값을 넣어주면 에러가 발생하게 됩니다.
public class UserDTO {
@NotNull
private Long id;
@NotEmpty(message = "fail")
private String password;
@NameConstraint
private String name;
@Valid
private Address address;
}
참조 : https://bbbicb.tistory.com/43
https://woowacourse.github.io/javable/post/2020-09-20-validation-in-spring-boot/
https://jeong-pro.tistory.com/203
https://victorydntmd.tistory.com/179
https://otrodevym.tistory.com/entry/Spring-%EC%9C%A0%ED%9A%A8%EC%84%B1-%EA%B2%80%EC%82%AC
https://m.blog.naver.com/varkiry05/222058714706
https://velog.io/@kwj1270/%EC%96%B4%EB%85%B8%ED%85%8C%EC%9D%B4%EC%85%98#documented
댓글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