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ekJoon : 1655번 (가운데를 말해요)
Java : BaekJoon DataStructure BaekJoon DataStructure(자료구조) 저의 문제풀이 입니다. 핵심 부분은 Bold해 놓겠습니다! 혹시 더 좋은 방법 알려주신다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1655번 (가운데를 말해요) 수빈이는 동생에게 “가운데를 말해요” 게임을 가르쳐주고 있다. 수빈이가 정수를 하나씩 외칠때마다...
Java : BaekJoon DataStructure BaekJoon DataStructure(자료구조) 저의 문제풀이 입니다. 핵심 부분은 Bold해 놓겠습니다! 혹시 더 좋은 방법 알려주신다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1655번 (가운데를 말해요) 수빈이는 동생에게 “가운데를 말해요” 게임을 가르쳐주고 있다. 수빈이가 정수를 하나씩 외칠때마다...
Blocking vs Non-Blocking / Sync vs Async 동기(Synchronous), 비동기(Asynchronous) 그리고 블로킹(Blocking), 논블로킹(Non-Blocking)은 운영체제를 배울 때 많이 나오기도 하고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중요한 개념 중 하나입니다. 기초 프로그래밍을 배우고 응용 파트인 병렬 프로그래밍을 ...
유효성 검사(Validation) 방법 Validation이란 어떤 데이터의 값이 유효한지, 타당한지 확인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이메일 주소 양식은 admin@example.com인데, 회원 가입을 할 때 이메일 양식이 일치하지 않으면 유효하지 않은 이메일이므로 회원 가입을 막을 수 있습니다. UI에서 javascript로 “이메일 양...
Jackson Annotation 사용법 jackson은 자바진영 Json 라이브러리로 잘 알려져 있지만 Json 뿐만 아니라 XML, YAML, CSV 등 다양한 형식의 데이타를 지원하는 data-processing 라이브러리입니다. 스트림 방식이므로 속도가 빠르며 유연하며, 다양한 third party(제 3자) 데이터 타입을 지원하며 annot...
MapStruct의 사용법 및 ModelMapper와의 비교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 등 레이어 간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나 비즈니스 로직에서 하나의 객체를 타입이 다른 객체로 형(Type) 변환하거나 여러 객체를 다른 객체로 합치는 일은 매우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이런 작업을 개발자가 모두 직접 하게되면 발생하는 문제...
Lombok의 사용법 및 주의점 Lombok은 Java 기반 애플리케이션에서 VO,DTO,Entity 등을 보다 쉽게 작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라이브러리입니다. Lombok은 Getter,Setter,ToString 등을 어노테이션을 이용하여 만들 수 있기 때문에 가독성이 좋습니다. 하지만 특정 Annotation의 무분별한 사용은 오히려 문제가 될...
pluginManagement와 plugins의 차이와 주의할 점 MapStruct에 관한 Maven 의존성 설정 후, 테스트하려는데 오류가 계속 나서 의존성 설정에 관한 구글링을 했지만 해결되지 않았습니다.. ㅠㅠ 그러다 혹시나 해서 pom.xml파일의 plugins 부분을 살펴보다 오류를 해결하였는데, 오류의 원인은 pluginManagement...
Entity, VO, DTO의 차이 Entity, VO, DTO 클래스는 사람마다 사용방법이 조금씩 다릅니다. 대부분은 VO(Value Object)와 DTO(Data Transfer Object)를 사용방법이 같다고 생각할 것입니다. 실제로도 비슷하며, 이를 정확히 구분 지어서 사용하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하지만 위 3가지의 클래스들을 정확히 ...
생성자 주입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 @Autowired 를 사용하는 필드 주입이나 수정자 주입 방법보다 생성자 주입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DI(Dependency Injection) 방법 등록된 빈을 사용하기 위한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DI(Dependency Injection) 방법은 생성자 주입(Constructor Inj...
Java : BaekJoon DataStructure BaekJoon DataStructure(자료구조) 저의 문제풀이 입니다. 핵심 부분은 Bold해 놓겠습니다! 혹시 더 좋은 방법 알려주신다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1918 수식은 일반적으로 3가지 표기법으로 표현할 수 있다. 연산자가 피연산자 가운데 위치하는 중위 표기법(일반적으로 우리가...